파이썬 기초 | 리스트 함수(리스트 생성, 삭제, 정렬 등) | 리스트명.append() | 2차원 리스트 | 튜플 개념 | 딕셔너리 함수 | 딕셔너리 {키 : 값}
1. 리스트 : 리스트 이름 = [값1, 값2, 값3, ...] : 하나씩 사용하던 변수를 붙여서 한 줄로 붙여놓은 개념 * numList = [0, 1, 2, 3] [0] [1] [2] [3] numList = [10,20,30,40] print(type(numList)) print(numList[0]) print(numList[1]) print(numList[2]) print(numList[3]) ▶ 리스트 생성 numList = [0,0,0,0] hap = 0 numList[0] = int(input("숫자1: ")) numList[1] = int(input("숫자2: ")) numList[2] = int(input("숫자3: ")) numList[3] = int(input("숫자4: ")) hap..
파이썬 기초 | 반복문 for문 | for~in range() | 중첩 for문 | while문 | break문 | continue문 | import random 이용하기
1. 반복문 : 특정 부분을 원하는 횟수만큼 반복하는 구문 2. for문 : for 변수 in range (시작값, 끝값 +1, 증가값) : --- 반복할 문장 --- : 반복할 횟수를 알 때 for i in range(3) : print("난생처음 파이썬은 재미있습니다. ^^") for i in range(0,3,1) : print("난생처음 파이썬은 재미있습니다. ^^") : range(시작값, 끝값 +1, 증가값) : 지정된 범위의 값을 반환함 ex. range(0,3,1) : 0에서부터 2까지 +1씩 증가하는 값들을 반환함. - 증가값을 생략할 경우 1로 인식함. - 따라서 range(0,3,1)은 range(0,3)과 동일함. - 시작값이 0이기 때문에 시작값도 생략 가능함. - 따라서 rang..
파이썬 기초 | 슬라이싱 | format() | f-string | replace() | strip() | startswith(), endswith()
▶ .format( , ) name1 = '김민수' age1 = 10 name2 = '이철희' age2 = 13 print('이름: {} , 나이: {}'.format(name1,age1)) print('이름: {} , 나이: {}'.format(name2,age2)) ▶ f - string name1 = '김민수' age1 = 10 name2 = '이철희' age2 = 13 print(f'이름: {name1}, 나이: {age1}') print(f'이름: {name2}, 나이: {age2}') ▶ .replace("바꿀 것", "바뀔 것") 상장주식수 = '5,969,792,550' 컴마제거 = 상장주식수.replace(',',"") 타입변환 = int(컴마제거) print(타입변환, type(타입변환..